13일 서울역서 대책위 성명 발표... "간장 식품유형 통합 개정안 논의 즉각 중단하라"

간장협회, 간장포럼, 한국전통식품수출협회, GMO반대전국운동, 장류발효인협회 등 전국 장류·시민단체가 모여 구성한 ‘장류 식품공전 개악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13일 서울역 서울비즈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의 간장 식품유형 통합 개정 추진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행사는 우태영 간장포럼 대표의 개회사로 시작됐으며, 대책위는 “간장 식품유형 통합 개정안 논의를 즉각 중단하라”, “산분해간장은 간장 분류에서 삭제하고, 별도 명칭과 표시를 의무화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피켓 시위를 이어갔다.

현장 발언에 나선 장류 업계 관계자는 "'산분해간장'을 간장으로 통합하려는 것은 전통 장류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이라며 우려했다. 친환경 급식 관계자도 "다른 나라에서 퇴출되는 혼합액(산분해간장)이 우리나라에서는 다시 등장하는 것이 말이 안 된다"며 "산분해간장이 간장으로 둔갑되어 아이들의 밥상에 오르는 것에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성명서에서 대책위는 최근 식약처가 장류협동조합의 요청을 근거로 ▲한식간장, ▲양조간장, ▲산분해간장, ▲혼합간장, ▲효소분해간장 등 현행 5종의 간장 유형을 '간장'으로 통합하는 식품유형 간소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전통 장 담그기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지 1년도 채 되지 않았음을 강조하며, 발효간장과 산분해간장을 구분할 수 있는 표시를 통합이라는 구실로 없애려는 것은 국민 요구에 역행하는 것이며 원재료와 제조 방법에 대해서 국민들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간장 식품유형 통합 개정안 논의 즉각 중단, ▲전통ㆍ발효간장의 고유 명칭과 기준 유지 및 강화, ▲산분해간장 간장 분류 삭제 및 별도 명칭 표시 의무화, ▲식품공정 개정 절차 투명 공개 및 공론화 실시 등을 요구했다.
성명 발표를 마친 대책위는 같은 장소에서 열린 '식품공전 분류 체계와 기준ㆍ규격 개선을 위한 산업계 자문단 회의'에 참석해 개정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재차 전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 측 설명과 시민단체, 장류 업계, 식품 업계 등의 반론이 맞섰으며 논의는 향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장독대 / 박재영 기자 jaeng3210@gmail.com
[ⓒ 장독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