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57% 참여… 젊은 세대와의 접점 확대
전국 사찰 11곳 참여, 명장스님 6인의 강연과 체험 부스 운영

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만당스님, 이하 문화사업단)은 6월 7일부터 8일까지 양재 aT센터에서 ‘제4회 사찰음식 대축제’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사찰음식의 국가무형유산 지정을 기념해 10년 만에 열린 대규모 축제로, 이틀간 2만여 명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국가무형유산으로 빛나는 사찰음식 – 한 그릇에 생명을 담다’를 주제로 전시, 강연, 체험 등을 통해 전통 사찰음식의 철학과 가치를 소개한 이 행사는 1만5천명의 사전등록자를 기준으로 20~30대 관람객의 57%를 차지하며 젊은 층의 높은 관심을 얻었다.
개막식에는 진우스님(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주경스님(중앙종회의장),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주호영 국회정각회 명예회장 등 종단과 정부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시연 및 강연에는 계호스님, 선재스님, 대안스님, 적문스님, 우관스님, 정관스님 등 사찰음식 명장 6인이 참석했다.
사찰음식 특화사찰 8곳(금수암, 동화사, 백양사, 법룡사, 봉녕사, 수도사, 영선사, 진관사)과 홍보행사 지원사찰 3곳(광제사, 능가사, 전등사)은 시식·체험 부스를 운영하며, 대부분 회차가 조기 마감되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이와 함께 나물 다듬기, 깻잎김치 만들기, 차 명상 등 문화사업단의 참여형 프로그램도 관람객들의 높은 참여를 보였다.

사찰음식 관련 유관 홍보기관으로는 (사)간장협회, 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 간장포럼 등 3곳이 참가했다. 이들은 전통 장류와 사찰음식의 연관성을 알리며 제품을 전시하고, 간장은 사찰음식의 기본 간 조미료로 ‘기다림’과 ‘정성’이 담긴 발효식품임을 알렸다.
이번 행사는 친환경 운영 기조 아래 일회용품을 최소화하고, 텀블러 등 개인 용기 사용을 유도했다. 이외에도 ‘승소’, ‘발우공양’ 등 사찰음식 관련 장류 및 굿즈를 판매하여 사찰음식의 확산을 도모하기도 했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장 만당스님은 “10년 만에 다시 돌아온 행사의 소중한 순간을 함께하고 있다”며 “대한민국 국가무형유산으로 사찰음식이 지정된 뜻깊은 해이기에 그 감회가 더욱 새롭다”라고 말했다.
한편 사찰음식은 불교 생명 존중과 절제의 철학을 담은 고유한 음식문화로 인정받아 지난달 19일 국가무형유산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되었으며, 그 가치를 국내외적으로 더욱 확산시킬 계획이다.
장독대 / 박재영 기자 jaeng3210@gmail.com
[ⓒ 장독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