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 분류 통합은 잘못된 행정” 우태영 간장포럼 대표 [인터뷰]

박재영 기자 / 2025-08-26 16:16:36
“간장 (통합) 분류 개정은 사실상 소비자 기만행위… 정확한 표시제와 세분화 필요”
대책위 핵심 인사로 오는 9월 10일 국회 토론회 준비
식품공전 분류 산업계 자문단 회의에 참석하여 발언하는 우태영 간장포럼 대표 / 사진= 장독대뉴스

“간장은 간장(Ganjang)이다. 간장 분류를 통합하는 건 소비자 알 권리를 외면한 잘못된 행정이다.”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 대책위 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한 우태영 간장포럼 대표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내놓은 간장 분류 개정안을 두고 이같이 밝혔다.

식품공전 분류 개정 논의가 진행된 산업계 자문단 회의 현장 / 사진= 장독대뉴스

지난 8월 13일, 서울 용산구 비즈센터에서 개최된 '식품공전 분류 체계와 기준규격 개선을 위한 산업계 자문단 회의'에서 식약처 산하 식품안전정보원은 새로운 간장 분류 개정안을 내놨다. 한식간장과 양조간장을 '조미식품류(대분류)=장류(중분류)-간장(소분류)'로 통합한다는 내용과 산분해간장과 효소분해간장을 조미식품류 아래 소스류 '아미노산액'으로 규정한다는 것이다. 

산분해간장과 양조간장을 섞어 제조한 혼합간장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어졌다. 1안은 장류 내 '혼합장'으로 편입한다는 것이고, 2안은 '조미간장'을 신설해 별도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식품안전정보원은 업계와 소비자 인식을 고려하면서 국제 기준에 부합하게 정리하는 것이 최종 목표임을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개정안에 대해 장류 업계와 시민단체에서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지난 8월 초, 기존 5종으로 분류된 간장 식품유형을 단일화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생산자, 소비자, 식문화 단체 등 20여 곳이 긴급히 모였다. 이렇게 해서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가 탄생했다.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 활동에 함께하는 우태영 간장포럼 대표 (오른쪽 첫번째) / 사진= 장독대뉴스

우태영 대표는 2003년 장 생산지 ‘옹기뜸골’을 시작으로, 2014년 간장포럼을 설립해 현재까지 35차례 포럼을 이어오고 있다. 그는 이번 개정안에 대해 "간장은 한국 고유의 이름 '간장(Ganjang)'이다. 이번 개정안은 장의 역사나 문화, 소비자의 알 권리, 생산자의 의견을 반영한 것인지에 대해 상당한 의구심이 든다"라고 지적했다. 일본의 간장 ‘쇼유(醬油)’가 고유명사로 자리잡은 것처럼, 한국에서도 ‘간장(Ganjang)’은 발효 전통을 담은 고유의 명칭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는 발효 방식과 재료가 다른 양조간장을 억지로 묶는 건 간장의 정체성을 흐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대형마트에 여러 유형의 간장이 진열되어 있다. / 사진= 본인 제공

또한 우 대표는 "산분해간장을 소스로 분류한 건 환영할 일"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장류를 ‘조미식품류’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 “장의 역사성과 고유성을 부정하는 기술주의적 발상”이라며 현행 유지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혼합간장을 혼합장으로 개정하는 안에 대해서 장의 분류에서 한참 벗어난 것이라 꼬집은 그는 "실제 혼합간장은 90% 이상의 산분해간장에 10% 이하의 양조간장을 혼합하여 만드는 것이 실상"이라며, "이런 제품을 혼합장으로 분류하면 소비자의 혼란만 가중된다. '혼합간장맛소스' 개정이 적합하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된장과 메주 역시 현행 통합안 대신 ‘한식된장-양조된장’, ‘한식메주-개량메주’로 세분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의 날’ 법정기념일 제정을 위한 선포식에서 발언하는 우태영 간장포럼 대표 / 사진= 간장포럼

그는 지난해 12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장 담그기'를 언급하며 "K-푸드 위상이 높아지는 지금, 분류를 단순화하는 건 시대 흐름에 역행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표시는 사실에 근거해 정확해야 하며, 앞으로는 더욱 세분화된 분류로 가는 것이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각 단체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대책위의 활동과 요구도 함께 이어졌다. 공동대표단을 꾸려 9월 1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라고 밝힌 우 대표는 "대책위는 현재 개정안 중단과 함께 정확한 표시제, 전통 장류의 고유 명칭 유지, 산분해간장의 별도 분류를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다가올 국회 토론회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이제 막 초안이 나온 단계라 구체적인 쟁점을 예단하기보다는 정부·한국장류협동조합·대책위가 각각 어떤 입장을 내놓는지가 중요하다"며 "이 과정을 통해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끝으로 우 대표는 대책위가 국민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대신 전했다. "식품공전 개정은 국민의 건강권과 알 권리,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라며 "무엇보다 절차가 투명해야 한다. 특정 기업이나 단체의 이익보다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공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독대 / 박재영 기자 jaeng3210@gmail.com

[ⓒ 장독대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박재영 기자

장, 김치, 술 등 한국 발효 식문화에 관한 기사 제공

뉴스댓글 >

SNS